
새도약기금은 2025년 10월부터 본격 시행된 장기 연체채권 정리 및 채무조정 제도입니다. 정부가 금융사 및 채권 보유 기관으로부터 요건에 맞는 연체 채권을 일괄 매입하고, 이후 상환능력 심사를 거쳐 **소각 또는 채무조정**하는 방식으로 운영됩니다.
(참고: 기초생활수급자는 별도 심사 없이 소각 처리 대상에 포함될 예정)
목차
1. 새도약기금 개요
① 새도약기금 개요
특징 요약:
- 채권 매입 → 추심 중단 → 심사 → 소각/감면/분할 상환 적용
- 개인이 **신청할 필요 없는 방식**으로 시작됨 (기금 측이 채권을 매입하면서 절차가 시작됨)
- 대상은 **7년 이상 연체 + 5,000만 원 이하 채무자** 중심
- 기초생활수급자 등 취약계층에는 심사 없이 소각 처리 검토
2. 대상 자격 조건
② 대상 자격 조건
아래 조건을 기본 요건으로 적용 중입니다 (정책 변경 가능성 있음).
| 조건 항목 | 세부 기준 |
|---|---|
| 연체 기간 | 7년 이상 연체된 채무 |
| 채무 금액 | 5,000만 원 이하 |
| 대상자 유형 | 개인 및 개인사업자 포함 |
| 취약계층 혜택 | 중위소득 60% 이하 등은 심사 없이 소각 대상 가능성 있음 |
다만, 정확한 자격은 향후 공고문을 통해 확정되므로, 정책 발표 시점 기준 내용을 반드시 확인하세요.
3. 지원 내용 & 절차
③ 지원 내용 & 절차
제도 흐름은 다음과 같습니다:
- 금융기관 → 기금 측이 협약 참여 기관 채권 일괄 매입 (채권 매입과 동시에 **추심 중단**)
- 기금 측이 채무자의 **행정 데이터 기반 상환능력 심사** 실시
- 심사 결과에 따라 아래 중 하나 적용
- 상환 불가능 판정 → **채무 완전 소각**
- 상환 가능성 있음 판단 → **원금 감면 + 분할 상환** 또는 기타 조정
- 심사 결과 및 처리 상태는 **기금 공식 홈페이지에서 확인 가능**
- 기초생활수급자 등은 **별도 심사 없이 소각 처리 계획** 있음
4. 혜택 규모 및 기대 효과
④ 혜택 규모 및 기대 효과
언론 보도 기준으로 아래 수치가 제시되고 있습니다:
- 매입 채권 규모: 약 **16조 4,000억 원**
- 예상 수혜 인원: 약 **113만 명**
기대 효과:
- 채무자가 추심 압박에서 해방되어 재기의 기회 확보
- 경제 활동 복귀 유도 → 소비 및 투자 회복에 기여
- 취약 계층의 채무 부담 완화
5. 유의사항 & 사기 주의
⑤ 유의사항 & 사기 주의
- 새도약기금을 사칭한 **문자·전화 보이스피싱** 주의 (공식 콜센터만 이용)
- 채무자 스스로 신청하는 절차는 현재 없음 — 사칭 신청서 링크는 클릭 금지
- 향후 조건 변경 가능성이 있으므로 정부 공고문을 자주 확인할 것
- 거짓 정보 기재 시 환수 또는 제재 대상 될 수 있음
6. 조회 방법 & 진행 확인
⑥ 조회 방법 & 진행 확인
- 채권 매입 여부 / 심사 결과 / 소각 여부는 **새도약기금 공식 홈페이지**에서 확인 가능합니다.
- 매입 절차가 시작되면, 대상자에게 순차적으로 통지가 이루어질 예정입니다.
7. 마무리
- 공식 홈페이지 방문하여 매입 여부 조회
- 심사 결과 발표 시 즉시 확인 및 대응
- 이 글이 유용했다면 **공유**하여 주변 분들도 혜택을 놓치지 않게 하세요
새도약기금은 단순 채무 정리 제도를 넘어서, 많은 분들에게 새로운 시작의 기회를 주는 제도입니다. “내가 해당될까?” 고민 중이라면 지금 바로 조회부터 해보세요.
본 글은 공식 기관 발표자료 및 언론 보도를 기반으로 작성되었으며, 최종 판단은 정부 공고문을 기준으로 하시기 바랍니다.