재테크를 시작하려고 마음먹었지만, 금융 용어부터 낯설어 어려움을 느끼는 분들 많으시죠? 오늘은 재테크 입문자라면 반드시 알고 있어야 할 핵심 금융 용어 10가지를 초보자 눈높이에 맞춰 설명드립니다.
이 글 하나로 금융 용어에 대한 기초 개념을 잡고, 재테크 공부에 자신감을 가져보세요!
1. 금리 (Interest Rate)
금리란 돈을 빌릴 때 지불하거나, 예금했을 때 받는 이자의 비율을 말합니다. 예: 예금 금리 4%면 100만 원을 맡기면 1년 뒤 4만 원의 이자를 받는 구조입니다.
2. 복리 (Compound Interest)
이자에 이자가 붙는 방식입니다. 단리와 달리, 복리는 시간이 지날수록 수익이 기하급수적으로 늘어납니다. 재테크의 핵심 전략 중 하나로 꼽힙니다.
3. 예금과 적금 (Deposit & Installment Savings)
- 예금: 목돈을 한 번에 넣고 이자를 받는 상품
- 적금: 일정 금액을 매달 납입하는 저축 상품
둘 다 안정적인 자산 증식 수단이지만, 목돈 운용은 예금, 습관 형성은 적금이 적합합니다.
4. ETF (Exchange Traded Fund)
여러 주식을 한 번에 묶어 투자하는 분산 투자형 상품입니다. 주식처럼 실시간 거래가 가능하며, 투자 초보자에게 인기가 많습니다.
5. 펀드 (Fund)
여러 투자자의 자금을 모아 전문 운용사가 대신 투자해주는 상품입니다. ETF와 달리 실시간 매매는 불가능하지만, 투자 대상은 다양합니다.
6. 리스크 (Risk)
재테크에서 수익의 가능성과 손실의 가능성은 항상 함께 갑니다. 리스크는 투자에서 감수해야 할 불확실성의 정도를 뜻합니다.
7. 분산 투자 (Diversification)
하나의 자산에 몰빵하지 않고 여러 자산에 나누어 투자함으로써 리스크를 줄이는 전략입니다. 대표적인 예가 ETF입니다.
8. 수익률 (Return)
투자금 대비 얼마나 벌었는지를 나타내는 지표입니다. 예: 100만 원을 투자해 110만 원이 됐다면 수익률은 10%입니다.
9. 원금 보장 (Principal Guarantee)
은행 예금, 적금 등처럼 투자금(원금)이 손실되지 않는 상품입니다. 하지만 일반적인 투자 상품은 원금 보장이 되지 않는 경우가 많습니다.
10. 세후 수익 (After-tax Return)
이자나 배당금에는 세금이 부과되므로, 실제 수령 금액은 줄어듭니다. 예금이자에는 약 15.4%의 세금이 부과됩니다. 실질 수익을 판단할 때는 ‘세후 수익률’을 꼭 확인해야 합니다.
마무리: 금융 용어는 재테크의 언어입니다
오늘 정리한 용어들은 재테크를 시작하면서 반드시 마주치게 될 기본 개념들입니다. 이 용어들만 제대로 알아도 뉴스, 투자 앱, 은행 상품 설명서를 이해하는 데 큰 도움이 됩니다.
재테크는 정보력이 힘입니다. 오늘 배운 용어들을 일상 속에 조금씩 적용해보며, 건강한 재정 습관을 키워보세요!
#재테크용어 #금융기초 #재테크초보 #금융상식 #ETF #복리 #수익률